삼성전자
글을 들어가기에 앞서 삼성전자는 참 제가 네이버에서 글을 썼을 때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참 여러 번 차트만으로도 다루었었는데 1년 2년 점점 시간이 지나가면서 차트를 보는 눈 그리고 정보를 받아들이는 능력과 재무상태를 어느 정도 파악하는 방법 기다리는 방법 등을 배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린 나이에 시작한 취미 공부지만 기업들을 알게되고 공부하고 시장이 돌아가는 것을 관찰하며 세상을 배우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소개
적어도 검색해보면 다 아는 정보일 수 있지만 조금이나마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는 크니까요
설립일
1969년 1월 13일에 설립되어 1975년 6월 11일에 기업공개를 실시하였고,
1984년 2월 28일 최초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에서 삼성전자주식회사로 변경되었습니다.
(출처 : 삼성전자 사업보고서)
사업
- DX(Device eXperience),
- DS(Device Solutions)
- SDC(삼성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 Harman(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및 그 종속기업)
사실 삼성전자라는 기업은 어떤 사업을 하는지 알아보지 않아도 여러 매체에서 어떤 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지 아니면 지지부진 한지에 대해서 길을 걷다가도 알게 되는 기업이기에 사업부문을 따로 찾아보아야 할 필요성보다는 그 사업부문이 어떻게 잘 흘러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게 더 유익할 것 같습니다.
사실 DX 부문도 중요하다 생각이 되지만 , 삼성전자 하면 반도체잖아요?
DS 부문이 그를 포함하고 있는 사업부문으로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사업부문 별 매출비중
매출 비중을 보니 사실상 DX 와 DS 부문이 8~90 %를 차지하고 있음이 보입니다.
사실 DX 부문도 반도체 안들어가는 제품이 어딨나 싶기도 하고
그렇기에 두 사업부문이 삼성의 주요 사업과 그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이라 생각됩니다.
삼성전자는 간단하게 어떤 사업을 하는지 정도만 이렇게 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이슈 및 기사
반도체 투자 확대
며칠 전부터 오늘까지 반도체 투자에 대한 확대 관련 뉴스가 나오고 현 주요 관심사인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뉴스는 여러 신문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투자에 관련된 뉴스는 곧 사업에 관련된 성장에도 직결되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향후 미래를 점치는데 좋은 재료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투자로 인하여 발생할 긍정적인 전망이나 세부적인 사항은 딥하게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전문적인 글을 작성하기 위한것 보다는 기록에 의미를 두고자 함이니까요
실적 10배
또 그와 같이 삼성전자의 영업실적이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었다는 기사들이 속속들이 나오곤 했습니다.
사실 영업이익이야 꾸준히 내면 좋은것이고 , 지금처럼 깜짝 성장을 한 경우 단기적으로 급등할 요소가 되어줄 수 있겠지만 이를 유지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더 좋은 정보라고 생각이 됩니다.
향후 이익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관찰해볼 가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재무정보
오버뷰
한국의 최고 기업의 주요 정보입니다.
시가총액과 배당 PER EPS 등의 정보를 간단하게 보여줍니다.
배당
배당에 관련된 정보입니다.
큰 변동은 없어 보이지만 수익률의 차이가 나름 변동이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배당 관련 수익률이 그리 큰 수치는 아니긴 하죠..
주식 수 관련
유동주식이 80% 정도를 차지하네요
기억상으로 삼성전자도 꽤 유동주식수가 많았던 주식 중 하나라고 기억합니다.
기업가치
기업가치는 시가총액보다는 낮은 수치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큰 의미부여를 할만한 수치차이가 아닌 것 같아 기록용으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수익전환율
No Comment
매출액 비중
위의 사업보고서에서 사업부문별 매출비중을 따로 그래프를 만들어봤는데
관련 그래프를 또 만들어서 여기에 보여주네요
따로 만들 필요가 없겠습니다.
국가별 매출 비중도 참 흥미롭습니다.
미국과 유럽권이 절반의 매출을 차지하며 한국도 상당한 비중을 역시 가지고 있다는 점이 보입니다.
수익 및 성장률
2023년의 성과가 너무 저조했기에 이번 분기의 실적이 크게 주목을 받았다라고 생각이 되네요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던 삼성전자가 한번 꺾였던 2023년 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부채 관련
부채와 잉여현금흐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을 보면
2023년에 첫 마이너스를 보여주면서 상당히 좋지 않았던 하락기였다고 생각이 됩니다.
단기와 장기 자산 부채 관련 비율을 봤을 때에는 상당히 건전해 보입니다.
평가지표 ( PER ~ PSR 등등)
아마 PER 은 E가 상당히 낮아짐에 따라서 크게 높아진 수치를 보여준 게 아닐까 싶고
현금흐름비율은 크게 주목할만한 부분은 없어 보이네요
이것도 참고용으로 남겨두겠습니다.
이 정도 흐름이면 평탄하다고 뭉개도 상관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익률 관련
생각보다 2017 ~ 2023까지 이익률 부분이 우하향 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2023년을 변곡으로 해서 다시 위로 튀어 오르는 이익률 부분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매출 총이익 부분에서 조금 더 좋은 성과를 2024년에는 기대해 보아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금 및 회전율 관련
다른 비율들에서는 큰 눈에 띄는 변화는 없지만
재고자산 회전율 하나에서는 감소하는 추세가 눈에 띕니다.
재고자산회전율은 기업의 재고가 이익으로 변화하는 속도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감소하는 모습을 보아 지표만을 봤을 때는 긍정적이지는 못할 수 있어 보입니다.
다만 이 하나만 보고 주식의 투자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기에 넘어가도 좋을 듯싶습니다.
차트분석
하모닉 패턴
박쥐패턴 (Bat Pattern)
처음으로 보이는 패턴은 박쥐패턴이었습니다.
그와 관련된 PRZ를 회색 박스로 영역화해 두었습니다.
나비패턴 (Butterfly Pattern)
다음으로는 나비패턴입니다.
그 PRZ 영역이 회색 박스 내부에 중첩되기에 생략했습니다.
하모닉 패턴들은 향후 추세 반전이 이루어졌을 시 향후 관련 자료로 사용될 수 있겠네요
채널 및 추세선
현 추세는 사실상 상승 추세에 놓여있다고 단기~ 장기까지 동의할 것 같고
현재의 상승 가격흐름을 채널화 해서 바라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고점대
이전의 불타올랐던 상승시기에 하락하면서 만들어진 고점 대들은 의미 있는 가격대로 현재 사용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금은 그 고점대들 중 하나에 비슷한 가격대에서 저항을 받는 중으로 보이며 단기 고점의 형성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단기의 저항이지 상승 추세의 지속은 여전할 것으로 저는 생각이 됩니다.
상승 구조(추세)
이전의 큰 하락구조의 파란색 선의 중간 반등 고점을 최근의 상승 흐름이 강하게 넘어서면서 삼성전자의 주가는 이전의 고점을 넘어서겠다는 의지가 보이는 것 같습니다.
다만 급격하게 상승할 것인지 건강한 상승을 보여줄 것인지는 조금 더 두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 위에 하모닉 패턴의 저항영역과 이전 고점대들의 저항 영역에서의 캔들을 관찰조차 하지 않은 상황이니 조금 더 기다려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평선
확실히 삼성전자는 초장기추세의 지속적인 상승을 가져다주었기에 어느 정도 가격의 평균흐름에 다가가면 튀어오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추가적인 상승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이평선들의 수렴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하나의 상승파동이 나왔다고 생각됩니다.
마무리
확실히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주는 삼성전자 입니다.
당장 매수하기 보다는 조정을 주면서 가격을 내어주면 상승을 취해보겠다는 마인드의 기다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만약에 단기적으로 들어가고싶다 한다면 저는 8만원 초의 가격적인 조정과 캔들을 관찰한 후 진입을 기대해볼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도 간단하게 글을 쓰면서 정리를 마쳤습니다.
2024년이 되면서 새롭게 글을 정성스럽게 어느정도 틀을 짜서 만드는 중인데
조금씩 더 발전을 해 나가 볼 생각입니다.
뭐든지 하면서 또 해봐야 발전을 하는 것이니 포기 않고 새롭게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기대되는 삼성전자의 주식 잘 보았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하모닉 패턴 / 박쥐 패턴 (Bat Pattern)
Harmonic Pattern / Bat Pattern(박쥐 패턴) 기본적인 Bat 패턴의 모양 Bat Pattern 의 기본 형태입니다. 사실 차트에는 바로 가시성있게 바로는 눈에 못 띌거라 생각이 됩니다. 처음 이 패턴들에 대해서 접하
caepy.tistory.com
하모닉 패턴 / 나비 패턴 (Butterfly pattern)
Butterfly pattern / 나비 패턴 이 형태를 띄고 있는 패턴의 마지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C 포인트가 A 를 넘어서지 않는 형태의 패턴말이죠🤔 사실 이 4가지 패턴만 알아도 매매에 있어서 색다른
caep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