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에 앞서..
이 카테고리를 새로 판 이유는 최근 유입 키워드를 보니
SPX DJI NDQ IXIC 가 뭔지에 대해서 타고 들어오는 유입 로그들이 꽤 간간히 보이더라구요
생각보다 신규로 입문하시는 분들이 꽤 있으신 것 같아서.. 이 시장에
저도 처음 시장에 대해서 알게되고 모르는 부분이 많았을 시절에 하나하나 검색해가면서 정보를 모으고 또 공부해왔습니다.
그때 시절을 생각하면서 정말 백지상태에 있을때 어떤 정보를 읽으면 빠르게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생각을 하며 글을 작성합니다.
DJI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 / 다우지수
간단 설명
DJIA(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Dow Jones & Company의 공동 창업자인 Charles H. Dow가 창안했습니다
찰스 다우라고 하면 이 시장에 어느정도 발을 들이거나 혹은 들이지 않아도 한번쯔음은 살면서 들어봤을 법한 이름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흔히들 다우지수 , 다우 , 다우존스산업지수 등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 지수입니다.
혹은 다우 이론이라고 해서 시장의 강세와 약세의 순환에 대한 부분을 다룬 이론또한 이 인물이 고안해 낸 것입니다.
현재에도 이 다우이론은 계속해서 언급되며 연구되고 또 수많은 트레이더들 시장 분석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개념 중 하나이기도 하죠. 추후에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에 한번 다뤄야 겠네요 말 나온김에🙂
미국의 각 산업체 기반의 30개 종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되어있는 것이 아닌 수시로 바뀌기도 합니다.
DJIA(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에 상장된 30개 주요 기업으로 구성되며, 이 30개 회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를 대표하도록 선정됩니다.
또 다우지수는 그 지수의 계산 방식이 가중 가격 계산 방식인데 , 말 그대로 다우지수에 편입되어 있는 주식들 중 주가가 높은 주식이 지수의 움직임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방식입니다.
주가가 높은 주식이 1% 오르는것이 주가가 보다 낮은 주식이 1% 오르는 것 보다 더 지수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죠🤔
현재 다우지수 편입 종목
저도 글 쓰면서 편입 종목이 뭐가 있는지 알아야하니까 서칭해서 가져왔는데, 그 주식만 나열하기에는 뭔가 심심해서
위 다우지수에 관련된 내용중 각 산업군을 대표하는 주식들로다가 이루어져 있다고 하잖아요?
그래서 저도 궁금한김에 각 어떤 산업군이 있는지에 대해서 한번 물어보고 찾은 결과로 구성을 해 봤는데 약간 잘못 구분된 애들을 일일이 옮겨서 다시 구성해놓기는 했는데 잘못 들어가있을 수 있으니 혹시라도 그런게 있다면 양해 부탁드립니다.😅
기술 (Technology)
- IBM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 애플 (Apple)
- 인텔 (Intel)
- 세일즈포스 (Salesforce)
금융 (Financials)
- JP모건 (JPMorgan Chase & Co.)
-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American Express)
- 비자 (Visa)
- 트래블러스 (Travelers)
의료 (Healthcare)
- 머크앤드컴퍼니 (Merck & Co.)
- 암젠 (Amgen)
- 유나이티드 헬스그룹 (UnitedHealth Group)
- 존슨앤존슨 (Johnson & Johnson)
-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 (Walgreens Boots Alliance)
소비재 (Consumer Discretionary)
- 나이키 (Nike)
- 맥도날드 (McDonald's)
- 월마트 (Walmart)
- 월트 디즈니 (The Walt Disney Company)
- 프록터 앤드 갬블 (Procter & Gamble)
- 코카-콜라(Coca-Cola)
에너지 (Energy)
- 셰브론 (Chevron)
산업재 (Industrials)
- 보잉 (Boeing)
- 캐터필러 (Caterpillar)
소재 (Materials)
- 3M (3M Company)
- 하니웰 (Honeywell)
- 다우 (DOW)
통신 (Communication Services)
-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 (Verizon Communications)
- 시스코 시스템즈 (Cisco Systems)
부동산 (Real Estate)
- 홈디포 (The Home Depot)
세일즈포스 (Salesforce) , 트래블러스 (Travelers), 월트 디즈니 (The Walt Disney Company),홈디포 (The Home Depot)
얘네가 조금 애매 해서 각각 가장 관련성 있다 생각하는 카테고리로 분류 했습니다.
트래블러스는 보험 관련이지만 사실 돈을 굴린다는 점에서 금융과 가장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해서 그곳에 집어넣었고,
월트 디즈니도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 따로 분류를 해야하나 싶었는데 결국 소비자들이 소비를 하는 컨텐츠니까 그곳에 ,
홈디포는 사실 가구나 인테리어와 가장 관련이 있는데 부동산과도 연계지을 수 있어서 서칭결과 이렇게 알려준것인가 싶습니다.
어우 .. 구분하고 세보니까 30개가 안돼서 목록 찾아서 다시 집어넣었네요😣
일일이 집어넣으면서 보니 전부 아는 주식들이네요 .. 초 거대 기업들 .. 그러니 다우지수를 대표하는 것이라 생각되네요
다우지수 차트
보면 사실 다우지수라고 해서 주가지수만 있는것이 아니라 트레이딩뷰에서만 간단하게 검색해봐도 다양한 지수들이 많습니다. 저는 전부 관찰하고 있지는 않지만요🙂
또 대표 지수답게 선물차트도 있습니다. 제가 주가지수에 관련된 글을 작성할 때 함께 참고하는 차트이기도 하죠
시장이 조금 더 유동적이게 열려있고 또 거래량 측면에서도 가끔 괜찮은 모습을 보여줄 때가 있어서 간간히 본 다우지수 차트와 함께 체크하는 차트입니다.
마지막으로 이게 근본 차트인 티커 DJI 로 흔히 매체에서 다루어지는 다우지수 차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마무리..
첫번째 정보글로 다우지수 관련 글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사실 저도 다시 찾아보고 알아두고자 한 목적도 있었기에 나름 괜찮았습니다.
주가지수를 다룰때.. 꽤 큰 변동성을 보여주는 날에는 어떤 주식에 의해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을지 같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보관련 > 시장관련 정보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Inflation) , 물가상승 (0) | 2023.10.01 |
---|---|
나스닥(Nasdaq) 에 대해서🤓 (0) | 2023.09.30 |
한국언론진흥재단 - 뉴스저작권 이용 가이드북을 먼저 읽고.. (0) | 2023.07.25 |
금리와 주가지수 상관관계 보기 (0) | 2023.04.30 |
돈 관련 경제지표 / 트레이딩뷰 , Federal Reserve -1 (2)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