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Nasdaq)
아직 완성본의 글이 아니기에 내용이 아직 빈약합니다.
찾으시는 정보가 안에 내포되어 있다면 빠르게 그 부분만 얻어가시기를 바랍니다.🙏🏻
나스닥이라고 투자에 대해서 무지하더라도 여러 매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뉴스나 신문 혹은 길거리에서 나누는 대화에서도 들어볼 수 있는 이름이라고 생각되네요🙄
나스닥에 대한 부분을 구글에 간단하게 나스닥을 검색해 보면
구글검색

저기 우측에 간단한 설명과 함께 사진들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주식거래시장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 나스닥 주식회사의 자회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나스닥 홈페이지

사실 나스닥이라고 해서 주가지수 차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나스닥이라는 회사의 홈페이지가 있기도 합니다.
홈페이지의 첫 화면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곳인지 알 것 같습니다.
상단에 흐르고 있는 주식들의 시세변동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고 있기도 하고 시장과 관련된 정보나 소식통 같은 것들을 다루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나스닥 지수(Nasdaq Index)란?
간단 검색으로도 찾아볼 수 있는 정보이지만 , 나스닥은 뉴욕 월 가 (월스트리트)에 위치하고 있는 미국의 증권거래소입니다.
여기서도 아무리 투자시장에 관심이 없더라도 월 스트리트라는 장소는 살면서 1번은 무조건적으로 듣게 되는 금융의 심장부라고 생각이 되네요
NYSE라고 하는 뉴욕 증권거래소를 다음으로 거대한 증권 거래소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나스닥이 산정한 편입 주식들 100개를 기준으로 그 주식들의 주가가 움직임에 따라서 지수로 나타낸 차트를 나스닥 지수로 알면 될 것 같습니다.
1971년 2월 8일에 설립되었기에 관련 지수차트를 한번 보면🔍
IXIC (US COMPOSITE INDEX) 차트

차트가 플롯 되기 시작한 최초 시기 또한 1973년으로 나타나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차트를 보니 참 무지막지하게도 성장했다는 걸 체감시켜 주네요 🙄
기술 관련 섹터가 한번 크게 박살 났었던 2000년대 부근의 1년 봉 기준 3개 연속 음봉도 눈에 띄게 잘 보입니다.
1년을 기준으로 본다면 , 연속 음봉이 나왔던 시기는 사실상 저기 3 연속 음봉을 제외하고는 없었다..라고도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글을 쓰면서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알게 됐네요🙂
또 나스닥 관련 차트라고 하면 IXIC와 NDQ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른 카테고리에 이미 기술한 정보이지만 한번 더 짚고 넘어간다면
- IXIC는 금융 관련 주식을 지수의 산정에 포함한 지수이고 차트가 플롯 되는 시기도 NDQ 보다 앞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NDQ는 금융 관련 주식을 배제하여 지수를 산정하는 친구라고 나누어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산정방식
나스닥의 지수 산정방식에 대해서 찾아봤는데 명확하게 딱 기술해 주는 정보를 찾기가 어렵더군요🤔
제가 찾아본 바에 따르면 현시점의 시가총액을 과거 대비해서 비율로 산정하는 것으로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만, 정확한 정보인지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듯합니다.
꽤 복잡한 산정방식을 따르는 듯하여 알아본 바에 의하면 위와 같이 시가총액 대비 비율을 이용하기도 하나, 총 시가총액 대비해서 각각의 주식의 시가총액에 대한 비율을 가중치로 적용해서 주가와 함께 지수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식으로 지수가 움직이는 듯합니다.🔍
Investing에서 찾아본 나스닥 구성 종목 100개 / 2023년 9월 30일 기준
종목 (티커) | 2023-9월 30일 기준 주가 |
AMD | 102.82 |
ASML | 588.66 |
Baker Hughes | 35.32 |
Biogen | 257.01 |
CrowdStrike Holdings | 167.38 |
CSX | 30.75 |
GE HealthCare | 68.04 |
Globalfoundries | 58.19 |
JD닷컴 ADR | 29.13 |
KLA Corp | 458.66 |
NXP세미컨덕터즈 | 199.92 |
PDD Holdings DRC | 98.07 |
The Trade Desk | 78.15 |
길리어드 사이언스 | 74.94 |
넷플릭스 | 377.60 |
다이아몬드백 에너지 | 154.88 |
달러트리 | 106.45 |
데이터독 | 91.09 |
덱스컴 | 93.30 |
램리서치 | 626.77 |
로스 스토어스 | 112.95 |
루시드 | 5.59 |
룰루레몬 | 385.61 |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 822.96 |
마벨 테크놀로지 | 54.13 |
마이크로소프트 | 315.75 |
마이크로칩 테크 | 78.05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 68.03 |
메르카도리브레 | 1,267.88 |
메리어트인터내셔널 | 196.56 |
메타 | 300.21 |
모더나 | 103.29 |
몬델리즈 인터내셔널 | 69.40 |
몬스터 베버리지 | 52.95 |
버텍스 파마슈티컬 | 347.74 |
베리스크 어낼리틱스 | 236.24 |
부킹홀딩스 | 3,083.95 |
브로드컴 | 830.58 |
스타벅스 | 91.27 |
시놉시스 | 458.97 |
시리우스 XM | 4.520 |
시스코 시스템즈 | 53.76 |
시애틀 제네틱스 | 212.15 |
신타스 | 481.01 |
아나로그디바이스 | 175.09 |
아마존닷컴 | 127.12 |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 | 75.22 |
아스트라제네카 ADR | 67.72 |
아이덱스 래버러토리스 | 437.27 |
아틀라시안 | 201.51 |
알파벳 A | 130.86 |
알파벳 C | 131.85 |
암젠 | 268.76 |
애플 | 171.21 |
앤시스 | 297.55 |
어도비 시스템즈 | 509.90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 138.45 |
얼라인테크놀로지 | 305.32 |
에어비앤비 | 137.21 |
엑셀 에너지 | 57.22 |
엑셀론 | 37.79 |
엔비디아 | 434.99 |
오릴리 오토모티브 | 908.86 |
오토데스크 | 206.91 |
오토매틱 데이터 프로세싱 | 240.58 |
온 세미컨덕터 | 92.95 |
올드 도미니언 프레이트 라인 | 409.14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 10.86 |
워크데이 | 214.85 |
월그린 부츠 얼라이언스 | 22.24 |
이베이 | 44.09 |
인텔 | 35.55 |
인튜이트 | 510.94 |
인튜이티브 서지컬 | 292.29 |
인페이즈 에너지 | 120.15 |
일렉트로닉 아츠 | 120.40 |
일루미나 | 137.28 |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 69.94 |
지스케일러 | 155.59 |
차터커뮤니케이션 | 439.82 |
컴캐스트 | 44.34 |
케이든스디자인시스템 | 234.30 |
코그니전트 테크놀로지 솔루션 A | 67.74 |
코스타 그룹 | 76.89 |
코스트코 | 564.96 |
코파츠 | 43.09 |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 109.08 |
퀄컴 | 111.06 |
큐리그 닥터 페퍼 | 31.57 |
크래프트 하인즈 | 33.64 |
테슬라 | 250.22 |
텍사스인스트루먼트 | 159.01 |
티모바일 | 140.05 |
파카 | 85.02 |
팔로 알토 네트웍스 | 234.44 |
패스널 | 54.64 |
페이첵스 | 115.33 |
페이팔 홀딩스 | 58.46 |
펩시코 | 169.44 |
포티넷 | 58.68 |
하니웰 | 184.74 |
※위의 나스닥 구성 종목에 대한 표의 출처와 정보는 INVESTING 닷컴에 있습니다. ※
🔍구글검색 월 스트리트

사진을 보니 여러 매체에서 다루는 그 유명한 WALL 이 적혀있는 가로등? 이 보이네요 🙄
또 저기 황소 동상이 보이실 겁니다🐂
월가의 랜드마크라고 할 수 있는 동상인데 Bull이라고 하잖아요?
레드불 에도 황소가 빨간색으로 캔에 표시되어 있는 걸 생각해 보시면 좋겠네요
무튼간에 여담으로 Bull 마켓 Bear 마켓 혹은 한국의 기사에서도 불 랠리를 이어간다 혹은 배어 랠리 등의 문장으로 시장의 흐름새를 말하기도 하죠🤔
시장이 활황을 띄고 상승세를 보이는 시장을 Bull Market이라고 하는 것도 저 황소동상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Bull Market 관련 이미지(구글 검색)

여기 이렇게 관련 사진들이 많이 나와있네요 상승장을 떠오르게 하는 관련 이미지들을 쉽게 검색으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깨알 정보이지만 알더라도 한번 더 쓱 훑어서 알게 되면 좋을 것 같아 한번 언급해 봤습니다.😀
나스닥 지수에 투자하는 법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관련 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낼 수 있는 ETF 상품을 예로 들고 싶습니다.
혹은 선물 시장에서 지수를 거래하는 방법도 있지만 경험이 전무하고 너무 큰 위험을 동반하기에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레버리지가 어느 정도 껴있거나 혹은 1 배율로 그대로 움직임을 추종하는 ETF 상품을 찾아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관련 ETF
아래에 나열된 ETF 들 만으로도 투자하는 데 있어서 부족함이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대게 투자를 진입할 때 여러 근거를 가지고 철저히 준비한 후 투자하기에 3 배율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만큼 생각했던 대로의 흐름이 나오지 않을 시 손절을 철저히 지켜야 하기에 배율이 높아질수록 더더욱 어렵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투자에 대한 경험이 전무하다면 낮은 배율의 ETF 상승 추종 상품을 적립식으로 떨어지면 사고 또 사모으는 식으로 투자를 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QQQ -> NASDAQ 100 지수를 1 배율로 상승을 추종하는 지수
- PSQ -> NASDAQ 100 지수를 1배율로 하락을 추종하는 지수
- QLD -> NASDAQ 100 지수를 2 배율로 상승을 추종하는 지수
- QID -> NASDAQ 100 지수를 2배율로 하락을 추종하는 지수
- TQQQ -> NASDAQ 100 지수를 3 배율로 상승을 추종하는 지수
- SQQQ -> NASDAQ 100 지수를 3배율로 하락을 추종하는 지수
PROSHARES의 ETF 상품들입니다.
다른 사의 관련 ETF 상품들도 많지만 솔직히.. 투자를 함에 있어서 자신의 견해와 투자가 올바른 방향대로 흘러가기만 한다면 어떤 상품을 이용하더라도 결국 계좌는 우상향 할 것이기에 여러 ETF를 알 필요성은 크게 모르겠네요🤔
간간히 나스닥을 포함한 여러 지수들의 방향성에 대한 차트 분석글을 관련 카테고리에 작성 중에 있으니 가끔 확인하여 투자 견해를 함께 생각해 보는 식으로 이용해 주셨으면 좋겠네요🙂
좋은 정보와 생각이 있으면 나누면 좋겠습니다.🙏🏻
추가적으로 괜찮다 싶은 내용들을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둘씩 추가할 예정이므로 아직 완성된 글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다시 시장에 대해서 돌아보고 공부하고자 하여 만든 카테고리 이므로 개인의 발전을 위해 적극 활용해 볼 예정입니다.📃
'정보관련 > 시장관련 정보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시장 관련 경제지표 공부하기 / 실업률, Unemployment Rate (0) | 2023.10.09 |
---|---|
인플레이션 (Inflation) , 물가상승 (0) | 2023.10.01 |
주가지수가 뭔지..🤔 (DJI,다우지수) (0) | 2023.08.26 |
한국언론진흥재단 - 뉴스저작권 이용 가이드북을 먼저 읽고.. (0) | 2023.07.25 |
금리와 주가지수 상관관계 보기 (0) | 2023.04.30 |